
- 장편
- 호러/스릴러
제
김준녕“이제 제발 솔직하게 말해 줘.
널 만나고 나서부터 이상한 일들이 벌어져.
나는 가끔…… 네가 되는 꿈을 꿔.”
텍스티의 시사 소설 시리즈 사이드미러 두 번째 작품
[다문화 혐오]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는 오컬트 호러!
‘우리’라는 말이 세운 얼어붙은 벽,
[다문화 혐오]에 관하여
2022년 만장일치로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을 수상한 김준녕이 여름의 끝자락에 호러 소설로 돌아왔다. 『제』는 인류의 보폭이 넓어지고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지금, 여전히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세워진 벽을 향해 정면으로 돌진하는 소설이다. 텍스티는 우리 모두가 목격했지만 너무 쉽게 잊곤 하는 여러 사회적 문제를 가장 가까이에서, 더욱 자세히 바라보기 위해 사이드미러 프로젝트를 기획했고 그 두 번째 작품을 통해 ‘다문화 혐오’에 관한 화두를 독자들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라는 말이 연대의 표식이 아니라 사람을 나누는 얼어붙은 벽이 되지 않도록, ‘우리’는 함께 노력해야 한다.
소설가 김보영, 듀나 추천!
“이 이질적인 세계에서
우리의 평범함은 기괴한 것이 된다.”
엔젤타운은 교회를 중심으로 강력한 커뮤니티가 형성된 미국 중부의 작은 마을이다. 1979년, 그곳에서 가장 크고 가장 비싼 저택에 한 가족이 살기 시작한다. 3인으로 구성된 그들은 한국계 미국인으로, 특히 아들인 ‘한’은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라 정서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완벽한 미국인의 정체성을 갖고 있다. 친일과 친미 행위를 통해 증조부 때부터 쌓아온 막강한 부를 바탕으로 마을의 유지가 된 가족. 그들은 숨 쉬듯 가해지는 동양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부와 권력으로 덮고 감추며 그곳에서의 시간을 견딘다. 그러던 어느 날, 또 다른 한인 가족이 엔젤타운으로 이주해 온다. ‘정’과 ‘희’, 그들의 아들 ‘준’은 한의 아버지 ‘앤드루 박’의 농장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쓰러져 가는 집에서 생계를 이어 간다. 어눌한 영어를 쓰는 그들의 집에서는 언제나 마늘 냄새가 났고 마을 사람들은 한의 가족에게 가하지 못했던 억압을 준의 가족에게 쏟아 내기 시작한다.
한편, 준의 등장 이후 한에게는 알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준의 시선으로, 준의 감각으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것이 ‘빙의’라는 것을 알게 된 한은 준으로부터 준의 가문이 대대로 한국의 샤먼인 ‘무당’이었다는 것을 전해 듣는다. 두 소년은 감각을 공유하며 모종의 거래를 약속한다. 그 약속을 굳게 믿으며 함께 지옥 같은 엔젤타운을 벗어날 날을 손꼽아 기다린다. 그렇게 하루하루 아슬아슬한 삶이 지속되는 동안에도 아이들은 관성처럼 자라난다.
그러나 교회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의 커뮤니티는 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마을의 기묘한 사건에 대한 책임을 준의 가족에게 묻는다. ‘동양인 이단’을 향한 그들의 광적인 혐오는 나날이 커지고, 그 혐오는 지금껏 돈과 권력이라는 방공호 속에 있던 한의 가족에게까지 전염되기 시작한다.
시간은 흘러 1999년 서울, 한은 ‘민경’과 함께 결혼식장에 서 있다. 다른 의미로 서로의 견딜 힘이 되어 왔던 두 사람은 이제 결혼 행진곡에 맞춰 한 발 한 발 걸음을 내디디기 시작한다. 그 걸음의 끝이 어디로 향할지 짐작조차 하지 못한 채로…….
널 만나고 나서부터 이상한 일들이 벌어져.
나는 가끔…… 네가 되는 꿈을 꿔.”
텍스티의 시사 소설 시리즈 사이드미러 두 번째 작품
[다문화 혐오]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는 오컬트 호러!
‘우리’라는 말이 세운 얼어붙은 벽,
[다문화 혐오]에 관하여
2022년 만장일치로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을 수상한 김준녕이 여름의 끝자락에 호러 소설로 돌아왔다. 『제』는 인류의 보폭이 넓어지고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지금, 여전히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세워진 벽을 향해 정면으로 돌진하는 소설이다. 텍스티는 우리 모두가 목격했지만 너무 쉽게 잊곤 하는 여러 사회적 문제를 가장 가까이에서, 더욱 자세히 바라보기 위해 사이드미러 프로젝트를 기획했고 그 두 번째 작품을 통해 ‘다문화 혐오’에 관한 화두를 독자들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라는 말이 연대의 표식이 아니라 사람을 나누는 얼어붙은 벽이 되지 않도록, ‘우리’는 함께 노력해야 한다.
소설가 김보영, 듀나 추천!
“이 이질적인 세계에서
우리의 평범함은 기괴한 것이 된다.”
엔젤타운은 교회를 중심으로 강력한 커뮤니티가 형성된 미국 중부의 작은 마을이다. 1979년, 그곳에서 가장 크고 가장 비싼 저택에 한 가족이 살기 시작한다. 3인으로 구성된 그들은 한국계 미국인으로, 특히 아들인 ‘한’은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라 정서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완벽한 미국인의 정체성을 갖고 있다. 친일과 친미 행위를 통해 증조부 때부터 쌓아온 막강한 부를 바탕으로 마을의 유지가 된 가족. 그들은 숨 쉬듯 가해지는 동양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부와 권력으로 덮고 감추며 그곳에서의 시간을 견딘다. 그러던 어느 날, 또 다른 한인 가족이 엔젤타운으로 이주해 온다. ‘정’과 ‘희’, 그들의 아들 ‘준’은 한의 아버지 ‘앤드루 박’의 농장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쓰러져 가는 집에서 생계를 이어 간다. 어눌한 영어를 쓰는 그들의 집에서는 언제나 마늘 냄새가 났고 마을 사람들은 한의 가족에게 가하지 못했던 억압을 준의 가족에게 쏟아 내기 시작한다.
한편, 준의 등장 이후 한에게는 알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준의 시선으로, 준의 감각으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것이 ‘빙의’라는 것을 알게 된 한은 준으로부터 준의 가문이 대대로 한국의 샤먼인 ‘무당’이었다는 것을 전해 듣는다. 두 소년은 감각을 공유하며 모종의 거래를 약속한다. 그 약속을 굳게 믿으며 함께 지옥 같은 엔젤타운을 벗어날 날을 손꼽아 기다린다. 그렇게 하루하루 아슬아슬한 삶이 지속되는 동안에도 아이들은 관성처럼 자라난다.
그러나 교회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의 커뮤니티는 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마을의 기묘한 사건에 대한 책임을 준의 가족에게 묻는다. ‘동양인 이단’을 향한 그들의 광적인 혐오는 나날이 커지고, 그 혐오는 지금껏 돈과 권력이라는 방공호 속에 있던 한의 가족에게까지 전염되기 시작한다.
시간은 흘러 1999년 서울, 한은 ‘민경’과 함께 결혼식장에 서 있다. 다른 의미로 서로의 견딜 힘이 되어 왔던 두 사람은 이제 결혼 행진곡에 맞춰 한 발 한 발 걸음을 내디디기 시작한다. 그 걸음의 끝이 어디로 향할지 짐작조차 하지 못한 채로…….
출판일
2025-09-09
라인
사회파 호러